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조지아 로컬 양조장 줄줄이 폐업, 이유는

  조지아주의 이름 있는 소규모 맥주 양조장들이 줄줄이 문을 닫은 이유가 불합리한 법적 규제 때문이라고 25일 애틀랜타 저널(AJC)이 보도했다.    올들어 피치트리 코너스의 '앤더비 브루잉,' 애틀랜타의 '캔들러 레일 브루어리' 등 주민들에게 인기를 끌었던 로컬 양조장이 폐업했다. AJC는 이 현상을 분석하며 "다른 동남부 주에서는 가능한 것이 조지아에서는 할 수 없게 만드는 불합리한 규제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소규모 양조장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로컬 파머스마켓 행사에서 직접 맥주를 판매하거나 소매점을 통해 판매하고, 소비자들에게도 직접 배송하며 중간 상인을 거치지 않는 것이 중요한데, 조지아에서는 이런 것들이 모두 규제 대상이다.    조지아는 지난 2017년 소비자가 양조장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법(SB 85)을 제정했으나 양조장이 직접 맥주를 소비자들이나 유통점에 배달하는 것은 금지하고 있다.    이에 더해 소규모 양조장들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입은 경제적 타격을 회복하지 못해 결국 폐업의 길을 걸었다.    AJC는 오픈 9년 만에 지난 6월 폐업한 애틀랜타 미드타운 소재 '세컨드 셀프 비어 컴퍼니'의 설립자 제이슨 산타마리아를 인터뷰했다. 산타마리아 씨는 "양조장은 2017~2018년 당시가 전성기였다. 이후에 매출의 60%가 떨어지더니 회복하지 못하더라"고 말했다.    피치트리 코너스 '앤더비 브루잉'의 경우,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양조장을 열어 판매 확대를 기대했으나 팬데믹으로 직접 양조장에 맥주를 사러 오는 사람이 현저히 줄었다.    맥주 양조업계 사람들은 소규모 양조장이 시장에서 더 쉽게 경쟁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아 말했다. 윤지아 기자조지아 양조장 소규모 양조장들 맥주 양조장 소규모 맥주

2023-07-25

“아시안이 만드는 맥주엔 특별함이 있다”

아시안에게 맥주는 정체성과 문화를 담아내는 도구다.   뉴욕타임스(NYT)는 백인이 주류를 이루는 맥주 양조 업계에서 아시안이 운영하는 업체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고 26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아시아계 미국인이 운영하는 맥주 양조장은 미국 내에서 2%에 불과하다”며 “그러나 아시안들은 이민 역사의 발자취를 따라 자신들의 유산을 반영한 맥주를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먼저 뉴욕타임스는 가주 오클랜드 지역의 수제 맥주인 ‘도깨비어(Dokkaebier)’를 조명했다. 도깨비어는 이영원(사진)씨가 지난 2020년 설립한 맥주 회사다. 한국 설화에 나오는 ‘도깨비’를 접목한 브랜드부터 라벨 디자인까지 한국적인 콘셉트를 맥주에 녹여냈다.   이 대표는 “김치에서 배양균을 추출해서 사워(sour) 스타일의 맥주를 만들었다”며 “신맛을 바탕으로 고추와 생강 등을 사용한 맥주도 있다”고 말했다.   도깨비어는 고춧가루부터 오미자, 양강, 대나무 잎 등을 과감하게 사용했다. 아시안에게 친근한 맛을 통해 주류 사회로 진출 중이다.   시애틀 지역 ‘럭키 엔벨로프 브루잉’은 중국인 2세인 레이몬드 콴, 배리 챈이 설립했다. 이들은 30대 후반까지 평범한 회사원이었다. 지금은 맥주를 통해 아시안에 대한 ‘모범적 소수계(model minority)’라는 인식을 맥주를 통해 타파하고 있다.   레이몬드 콴 공동대표는 “아시아계 부모들은 대부분 자녀가 묵묵히 일만 하길 바라는데 이는 소수계 콤플렉스에 의해 강화된 인식”이라며 “우리는 그러한 고정관념을 깨부수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기까지 꽤 시간이 걸렸다”고 말했다.   럭키 엔벨로프 브루잉은 먼저 맥주의 맛으로만 승부했다. 지난 2015년 미국 맥주 경연 대회에서 동메달을 수상하며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렸다. 이후 세뱃돈 등을 넣는 중국식 붉은 봉투인 ‘홍바오’를 강조하기 위해 로고를 새롭게 만들고 십이지간을 이용한 기념 맥주를 선보이기도 했다.     샌프란시스코 지역에는 ‘베어보틀 브루잉 컴퍼니’가 있다. 이 업체의 일본계 미국인 레스터 코가 대표도 자신의 정체성을 맥주 양조에 활용하고 있다.   코가 대표는 “어린 시절부터 이 사회에 최대한 동화되는 법을 배우지만 내가 누구인지 정체성을 찾는 것은 계속되는 일이었다”며 “우롱을 이용한 맥주, 사무라이 사케 밀맥주 등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내 아시아계의 맥주 양조 역사는 30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1994년 중국계 미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오스카 웡이 노스캐롤라이나주 애슈빌에서 맥주 양조장을 열었다”고 전했다. 장열 기자ㆍjang.yeol@koreadaily.com아시아계 맥주 맥주 양조장 맥주 사무라이 맥주 경연

2023-06-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